본문 바로가기

은행 바로알기

은행 예금과 적금.. 왜 실수령액이 표시금리보다 작을까?




목돈을 만들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금융기관을 뽑으라고 한다면 대부분 은행을 얘기할 것입니다.

아울러 그 중에서 목돈 만들때 사용하는 금융상품은 적금 또는 예금을 얘기합니다.



그런데 말입니다~~

가입할 때 표시된 금리와 만기 시 받는 금액을 비교해보면 왠지 계산이 안맞는 경우를 본 적이 있나요?


은행 적금이나 예금을 가입할 때 4% 이자를 준다는 얘기를 듣고 1년만기 상품을 가입했는데 막상 만기가 되어 보니 4%보다 작은 금액을 받는 경우겠죠...

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경우 정확히 따져보거나 이유를 묻지않고 그냥 주는대로 받고 만기 금액 받았다고 좋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또는 가입당시 만기금액 표시가 되어 있어 그 금액이 맞는지만 확인하는 경우가 많죠.




그렇다면 왜 표시된 금액과 만기 시 받는 금액이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요?


그이유는 연이자라는 부분과 이자소득세라는 세금 때문입니다.


우리가 은행의 금리표시를 잘 확인해보면 연4% 또는 연5% 라는 식으로 이자율 앞에 "연" 이라는 말이 붙습니다.

이는 1년이라는 기준으로 표시된 금리를 준다는 얘기입니다.

따라서 1년이 안되는 경우 경과된 기간만큼만 이자를 주게 되기 때문입니다.

즉, 적금의 경우 첫달은 4% 금리를 계산하지만 둘째달은 (4% × 11/12) 만큼의 이자가 계산되기 때문인 것이죠.


이를 공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실제 수령이자 = W × n(n+1)/2 × r/12


W는 총불입액,  n은 납입기간,  r은 이자율을 말합니다.



두번째로 은행에서 표시하는 금액은 세전금리로서 세금을 제하기 전 금리입니다.

따라서 만기 시점에 세금을 제하게 되며, 이때 세금을 제하고 받는 금액을 세후금액이라고 합니다.

세금은 그동안 쌓인 이자의 15.4%(이자소득세 14% + 주민세 1.4%)에 해당합니다.

즉 우리가 눈에 보이는 금리에서 세금을 제한 금액이 실수령액이라는 얘기가 됩니다.



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
  • 홍길동씨가 금수강산 은행에서 1년 만기로 연이자 5%를 주는 적금에 매월 100만원씩 불입하기로 하여 적금을 가입하였습니다.
    만기 시 받는 금액은 얼마일까요?

    실제수령이자 = 100만원 × [{12 × (12 +1)}/2] × (0.05/12) = 325,000원

    그 다음 이자의 15.4%를 세금으로 반납!!
    325,000원 × 0.154 = 50,050원

    즉, 실수령액은 원금 1200만원 + 세전이자 325,000원 - 이자소득세 50,050원 = 12,274,950원


  • 홍길동씨가 1000만원을 연이자 5%를 주는 예금에 1년간 예치하였습니다.
    만기 시 받는 금액은 얼마일까요?

    예금은 1년간 전액에 대해 1년간 예치기간이 인정되므로 1,000만원 × 5% = 500,000원이 이자가 됩니다.
    여기에서 이자소득세 (500,000원 × 15.4%) = 77,000원을 제하면 실수령액이 나옵니다.

    즉, 원금 1200만원 + 세전이자 500,000원 - 이자소득세 77,000원 = 10,423,000원



목돈을 만드는데 있어 은행의 적금과 예금만큼 좋은 상품을 찾기도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.

그만큼 은행의 적금과 예금을 많이 이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.


그러나 금융상품을 이용함에 있어 항상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눈에 보여지는 명목금리만 신경쓸 것이 아니라 실제로 수령하는 이자를 나타내는 실질금리도 잘 따져봐야 한다는 것입니다.


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실질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한다면 실질수익률은 마이너스와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죠.


이런 금리의 함정을 잘 눈여겨보셔서 적금을 이용하거나 예금을 이용하여 목표금액을 만들고자 한다면..
투자기간과 실질금리를 잘 확인하셔서 목표금액을 달성하시기 바랍니다.

이상 오늘은 끝~~